목록전체 글 (39)
꿈이 현대자동차 RnD 연구소 직원인 자동차 관련 임베디드 개발자

하나의 ecu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여러 디렉토리 중에 특정 디렉토리는 read-only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한다.사용 예시 : remount 명령어가 불필요하거나 절대 변경되지 않아야하는 파일들을 담을 때 사용하는 케이스가 있을거같다.
read-only와 read and write available으로 디렉토리(하위 경로 포함)를 접근제한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다.사용 예시1. 코드블럭(하나만 하기)이 명령어는 이전에 적었던 plant mode 포스팅과 연관이 있다. 왜냐하면 read and write available 파일 시스템(예 : ext4)일지라도, 플래싱할 이미지가 read-only로 설정되어있다면 engineering mode로 변경하지 않는 이상 그 디렉토리들은 write 할 수 없기 때문이다.
PLANT MODE이 모드는 시중에 들어가는 녹색판떼기(pcb)에 적용된다.설정시에 쉘 커맨드가 먹히지도 않고, 시리얼 통신으로 로그도 제대로 안나온다. 즉, 설계된 동작만 하도록 만든다.(이 모드에서 DLT 로그는 정상적으로 나옴)ENGINEERING MODE시료(실제품 개발을 위해 만든 PCB)에서 SW개발 및 빌드한 결과물을 테스트 할 수 있게 하는 모드이다.PLANT MODE에서 ENGINEERING MODE로 변경하면, 쉘 커맨드나 로그 등이 정상적으로 동작된다. 그렇게 변경한 이 모드를 가지고 풀(full)빌드한 소스코드를 빌드후 이미지 플래싱하거나 부분(partial)빌드후 특정 데몬(서비스)나 .so파일을 교체해서, 만든 코드가 정상적인지 테스트 하는데 사용한다.이게 특정 자동차 제품사(o..